Hobby/RaspberryPi

[Raspberry Pi] VNC를 위한 iptime 포트포워딩 설정

정선옥수수 2024. 9. 25. 00:06

안녕하세요.

막혀있던 혈이 뚫려서 호다닥 달려왔습니다.

 

제가 집에 라즈베리파이를 세팅해두고 출퇴근하면서 원격 접속으로 타닥거리는 꿈을 꾸었는데요. 이 포트포워딩으로 외부에서 라즈베리파이로 바로 접속하는 걸 까먹어서 못했거든요. 이게 또 찾아봐도 정보가 너무 많아서 자꾸 실패만 하고... 그래서 포기하던 찰나에 딱 됐네요 ㅠㅠ 이제 원격을 PC 안 키고 바로 라즈베리파이 쓸 수 있겠네요.

 


 

환경 설정

우선, 저와 동일한 환경이신 분들에 해당하는 내용이니까 이것부터 이야기 하겠습니다.

  1. Raspberry Pi가 IPTIME 공유기로 연결되어 있어야 합니다. (다른 공유기는 포트포워딩 방법을 몰라요)
  2. Windows에 VNC viewer가 설치되어 있어야 합니다. (VNC 연결을 할 거라서요)
  3. Raspberry Pi에 VNC가 활성화되어 있어야 합니다.

아래를 참고하시면 (2, 3)은 완료할 수 있습니다.

https://oksusu-farm.tistory.com/12

 

[Raspberry Pi] Setup for Windows

안녕하세요.추석이라 할 일이 없어서 포스팅을 하고 있는 자신이 살짝 안타깝네요.여튼 ! 이번 포스팅은 라즈베리파이를 사용하기 전에 미리 세팅을 해놓기 위한 내용입니다. 우선, 대부분의

oksusu-farm.tistory.com

 


 

IPTIME 설정

사실 이게 전부라고 봐도 무방합니다...ㅎㅎ

우선 크롬의 주소창에 "192.168.0.1"을 치시고 IPTIME의 관리자 메뉴로 들어가 주세요. 아이디나 비밀번호를 딱히 설정을 안 하셨다면 default가 나오니 그것으로 들어가면 되고요. 까먹으셨다면 공유기에 보면 이쑤시개 하나 들어갈 것 같은 동그란 구멍을 찌르면 딸깍합니다. 5초정도 누르시면 공유기가 초기화 돼요. 그럼 ID, P/W를 다시 설정할 수 있습니다.

 

어찌됐건 그렇게 관리자 메뉴에 들어가셨으면, 아래의 빨간 상자부분을 기억해두세요.

이 IP가 랜선에 할당된 공인IP라서 외부에서 접속하려면 이 녀석으로 접속해야 해요.

 

자, 그리고 [고급 설정 - 무선랜 관리 - MAC주소 관리]로 갑니다.

그럼 아래처럼 연결된 Raspberry Pi가 어떤 IP를 할당 받았는 지 알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고급 설정 - NAT/라우터 관리 - 포트포워드 설정]으로 갑시다.

그리고 다음과 같이 설정해주세요.

 

규칙 이름    :   알아서 ㅎㅎ

내부 IP주소:   위 캡처에서 얻어온 내부 IP

프로토콜     :   TCP or TCP/UDP

외부 포트    :   5900 ~ 5900

내부 포트    :   5900 ~ 5900

 

여기까지 하면 준비는 끝입니다. 사실 여기서 중요한 건 저 포트인데요. 중요한 이유가 vncserver는 기본적으로 5900 port 이상을 사용하는 것이 첫 번째이고요. 두 번째는 외부 포트와 내부 포트를 동일하게 맞춰줘야 해요. 동일하게 맞추는 이유는 VNC처럼 특정 포트를 사용하는 application은 포트를 동일하게 맞춰야 client와 server가 원활하게 연결되기 때문입니다. 이건 VNC의 특성에 의한 것이라고 보는게 좋을 것 같네요 ㅎㅎ

 


 

VNC 설정

이거는 뭐 설정이랄 것도 없고, 아까 처음에 그 기억해두라고 한 빨간 박스 안에 IP 있죠 ?

그걸 아래 캡쳐의 빨간 박스 부분에 넣으시면 끝입니다.

IP:5900 이렇게 될겁니다.

그러면 이제 아래처럼 뜨고 동일하게 아이디 비번 치고 접속하시면 끝입니다.

 

저는 멍청하게도 포트 둘을 맞춰야 한다는 것을 몰라서 포기했다가 시도했다가 오래 걸렸네요. 누가 이 포스트를 보실 지 모르겠지만... 쉽게쉽게 하시면 좋겠네요.